
1. 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별 (자동사와 타동사를 혼동하지 말자.) 자동사: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동사 (전치사가 붙으며, 목적어가 없기 때문에 목적어가 주어로 쓰이는 수동태로 사용될 수 없다.) ex) appear(+to), consist(+of), complain(+about), happen(+to), speak(+with) 타동사: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 (수동태로 사용될 수 있다.) ex) mention, address, approach, attend, discuss, enter, marry, obey, reach, resemble, inhabit, leave, join cf) lie - lay - lain : (~에) 눕다, (~에) 놓여있다 → 자동사 lay - laid - laid :..

일반적인 공부법 교과서 암기를 하도록 한다. 문장을 외우는 속에서 문법, 단어에 대한 통암기가 가능하다. 특히 내신에서는 전치사 문제 등의 출제로, 꼼꼼히 공부하지 않았을 경우 틀리기 쉬운 문제들 투성이다. 요즘은 교과서외 출제도 많지만 기본적으로 교과서 내의 내용에 대한 충분한 공부가 이루어져야 교과서 외 문제들도 풀 수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내신에서는 교과서 공부가 충실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많은 학생들이 본문만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실제로 앞 부분의 communication, listening공부는 소홀히 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그러나 이 부분은 일반문법사항에 어긋나고 단어의 일반적인 의미로 해석이 어려운 생활회화구문들이 많기 때문에 꼭 암기해야 한다. 상황별 question-answ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