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적인 공부법 ① 교과서 정독을 통한 흐름파악이 우선이다. 참고서 혹은 문제집에 있는 요약된 내용으로는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없다. 교과서 정독과 요약정리를 통해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해야 한다. 교과서의 목차를 먼저 살펴보는 것 역시 흐름 파악의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② 단순한 암기보다는 흐름을 이해해라. 일반적으로 역사과목(국사/세계사/근현대사)을 공부하는 학생들의 대부분이 저지르는 실수가 바로 암기위주로 접근한다는 것이다. 각 사건의 연도를 외우기보다는 흐름의 과정과 성격과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 각 단원의 첫 장에는 그 단원에서 다뤄지는 시대에 대한 학습목표가 기록되어 있다. 학습목표를 염두에 두고 공부하라! ③ 문제풀이의 용이성을 위해 사건의 순서 및 특징과 영향/시대별 정치..

일반적인 공부법 중학교 1학년 사회 과목의 경우 우리나라의 생활에서부터 시작해서 지리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때문에 학생들이 사회과목 공부시 사회과 부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지도하고 있으며 각 파트별 관련 지도를 상세히 보는 것은 물론 전반적인 지도를 연결시켜 구분하는 것을 힘들어하는 학생들이 많이 있으므로 ( ex> 앵글로 아메리카와 라티아메리카의 지도를 따로 놓고 지역 설명을 찾으라고 하면 전체적으로 볼 때 잘 아는 학생이 찾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전반적인 지도를 잘 학습하고 지도 자체에 특징이 있는 지역을 표시하고 간략하게 설명을 쓰도록 하고 있다. 중학교 1학년 사회는 지리에 관한 부분이다. 따라서 지도와 함께 공부하는 것은 필수이다. 그리고 지리적인 특징에 대하여 알고, 세부적인 암..

교재기본 논평 - 개념설명도 충실하며 개념을 익히기 위한 문제들이 많이 들어있으며 학교시험을 대비하기 위한 교재로 적당한 교재이다. 별책으로 되어있는 교재는 시험대비로 좋다. 문제량이 제법 많은 교재이므로 이것을 택했다면 이 한권을 제대로 풀어낸다면 학교수준의 시험문제를 푸는 데는 별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학생들마다 개인차가 있어서, 소단원마다 빨리 풀고 더 많은 문제를 풀고 싶어하는 있게 마련이며, 그럴 때 아이들에게 풀어보도록 하기 위해 부교재로 채택하기에 손색없는 교재이다. 문제집 정답 및 해설(pdf viewer는 아래의 링크로 가서 파일을 먼저 설치해 주세요) - 수학은 사실 정답을 보고 틀린 것을 확인하는 단순 과정이 아니라, 풀이과정을 보면서 다양한 견해중에서, 그래도 많이 객관화된 답을 ..

교재기본 논평 - 이 교재 자체는 우선 수학 문제의 반복 훈련과 잦은 실수를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교재라고 설명되어 있으며, 집중 훈련 첫 교재라는 맞습니다. - Study Index를 통해 어느 정도 아이가 공부를 할 지 계획을 짜기도 수월한 것 같으며, 교재 가이드를 통해 기초 난이도 문제들을 소화하고, 라이트쎈이나 쎈으로 일반적인 문제 유형들을 소화하는 것 같습니다. 이후에는 고난이도 문제들을 풀게 되어 있습니다. - 쎈연산은 초등학생들이 중학교 과정을 맛보기 하는데 괜찮은 교재라 생각되며, 특히 중학교 1학년 2학기 과정은 기본 도형, 평면 도형, 입체 도형, 통계 기초 등 고등학교 3학년까지 계속에서 다루는 처음만나는 장애물로 처음에는 쉬우면서도 확실하게 다질 수 있는 교재가 필요합니다. 어..

일반적인 공부법 ① 매일 조금씩이라도 국어공부의 시간과 분량을 구체적으로 계획하고 꾸준히 공부해 나가는 것이 필수적이다. 수업을 듣기 전, 배울 부분의 교과서를 읽으면서 그 단원의 학습 방향과 핵심 사항 등을 살피며, 수업을 들으면서 중요한 사항을 표시하고, 궁금한 것은 질문을 통해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복습과정에서 수업 시간에 배운 것을 중심으로 정리하고, 문제를 풀어 배운 내용을 다시 한 번 확인해야한다. 공부를 하면서 필요하거나 중요한 내용은 교과서 여백/포스트잇을 사용해 꼼꼼히 정리한다. ② 다른 과목도 마찬가지겠지만, 국어 공부에 있어 제일 기본은 교과서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자습서/참고서에 비중을 많이 두고 교과서는 등한시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자습서와 참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