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지와 공부법 저장소 햄버거 메뉴

목차

    작중 상황(作中狀況)

     

    작중 상황(作中狀況)란 작중 인물들이 활동하고 있는 무대에서 벌어지는 일들이 진행되어 가는 형편이나 모양을 말한다. 소설에서는 작중 상황에 따라 인물들의 사고, 감정, 행동 방식이 결정되므로 작중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 편의 작품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작품에 제시되지 않은 내용과 상황을 추리할 수 있어야 한다. 문학 작품에서는 암시나 비유, 생략 등의 기법이 자주 사용되므로 작품을 읽어 나갈 때 어떤 상황인가를 추리하며 읽는 자세가 필요하다.

     

     

    장면(場面)

     

    문학 작품을 읽을 때 작품에 나타난 내용을 토대로 배경, 인물의 행동, 사건 등을 상상하며 읽는다면, 그 작품에 더욱 깊이 몰입할 수 있으며 보다 깊은 감동을 받을 수 있다.

    장면(場面)이란 바로 작품에 나타난 내용들을 토대로 독자가 상상해 낸 구체적인 모습을 말한다.

     

     

    전제(前提)

     

    전제(前提)란 주장이나 결론을 이끌어 내는 과정에서 필요한 논리적 근거를 말한다.

    전제는 주장이나 결론과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전제가 달라지면 주장이나 결론도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전제를 결론이나 주장과 따로 떼어서 다루는 것은 의미가 없다. 전제와 결론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전제] → 그렇기 때문에, 그러므로, 따라서 → [결론(주장)]

    [전제] ← 왜냐 하면 ← [결론(주장)]

     

     

    정보(情報)

     

    정보(情報)란 글 속에 들어 있는 개별적인 하위 내용 하나하나를 말한다. 한 편의 글에는 수많은 정보들이 들어 있고, 또 그것들은 서로 밀접히 관련을 맺으며 구성되어 있다. 한 편의 글에는 중요한 정보인 '핵심 정보'와 그것을 뒷받침하는 '부수 정보'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세부 정보란 글 속에들어 있는 많은 정보 중 어느 특정 정보를 가리키는 말로, 대체로 글에 독해에 필요한 중요 정보가 그 대상이 된다.

     

    세부 정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한다.

    1. 왜곡 여부

    (1) 확인 사항 : 답지의 내용이 본문과 일치하는 정보인지 확인한다.

    (2) 해결 방법 : 물음에서 요구하는 정보를 글에서 찾은 다음 답지의 내용과 일치 여부를 확인한다.

     

    2. 언급 여부

    (1) 확인 사항 : 답지의 내용이 본문에 나와 있는 정보인지 확인한다.

    (2) 해결 방법 : 각 문단별로 중심 화제가 무엇인지를 확인한 뒤 답지와의 관련 여부를 검토하면서 언급하지 않은 내용을 가려낸다.

     

    정서(情緖)

     

    정서(情緖)란 본래 사물에 부딪혀 일어난 온갖 감정을 일컫는 말로 정감(情感), 정조(情調), 기분 등과 혼용되기도 한다. 또 , 작품에서 풍기는 일반적인 기분, 즉 분위기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러한 정서의 파악은 문학 작품, 특히 시를 바르게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작중 상황을 알면, 정서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작중 화자(또는 등장 인물)가 처해 있는 상황은 작중 화자(또는 등장 인물)의 말과 행동의 문맥적 의미를 규정하고 또 그것이 작품의 지배적 정서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갈등을 다루는 소설이나 희곡에서는 대개 작중 상황이 선명하게 나타난다.

    시에서는 소설과 달리 사건이라고 할 만한 것이 없고 짧막한 장면만 제시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그래도 일정한 상황을 이루게 마련이다.

     

     

    제재(題材)의 표현 방법

     

    특정 제재를 표현하는 데는 그에 적합한 방법이 있다. 가령, 자동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분석'의 방법이, 청소년의 범죄 원인을 해명하기 위해서는 '인과'의 방법이 적절한다.

     

    정태적(情態的) 방법

    ① 정의(定義) : 어떤 대상의 범위를 규정짓거나, 그것의 본질을 진술하는 것을 말한다.

    ② 분석(分析) : 복잡한 것을 단순한 요소나 부분들로 쪼개는 것을 말한다.

    ③ 비교(比較)와 대조(對照) : 특정 기준에 따라 대상 간의 유사점을 밝혀내는 것은 비교이고, 그 차이점을 밝히는 것이 대조이다.

    ④ 묘사(描寫) : 대상의 세부 요소를 연상적인 형태로 배열하는 것을 말한다.

    ⑤ 분류(分類) : 어떤 대상을 공통적인 특성에 근거하여 구분짓는 것을 말한다.

    ⑥ 유추(類推) : 개념이나 복잡한 주제를 친숙하고 단순한 것과 비교하는 것을 말한다.

    ⑦ 예시(例示) : 세부적인 예를 제시함으로써 일반적인 내용을 구체화하는 것을 말한다.

     

    동태적(動態的) 방법

    ① 서사(敍事) :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건의 진행을 드러내는 것으로, 주로 '무엇'에 초점을 맞춘다.

    ② 과정(科程) : 어떤 특성이나 결과를 가져온 변화나 기능 또는 단계들을 밝히는 것으로, '어떻게'에 초점을 맞춘다.

    ③ 인과(因果) : 결과에 대한 원인을 해명하는 것으로, 주로 '왜'에 초점을 맞춘다.

     

     

    중심 정보(中心情報)

     

    상호 관련을 맺고 있는 여러 정보들이 모여서 하나의 문단을 이루고 그 문단들이 모여서 한 편의 글이 완성된다. 중심 정보란 이러한 여러 정보들 중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정보를 말하는 것으로 핵심 정보라고도 한다. 즉, 필자가 문단이나 글에서 말하고자 하는 생각의 의도나 핵심 내용을 말한다.

    핵심 정보의 파악 요령은 먼저 문단의 소주제를 파악한 뒤, 같은 내용의 문단을 묶고, 다시 내용 문단의 소주제를 확인한 후, 요지와 주제를 찾아낸다.

     

     

    진술 방식(陳述方式)

     

    글은 쓰는 동기와 목적에 따라 다른 진술 방식을 취하게 된다. 설명, 논증, 묘사, 서사가 그것이다.

    설명은 독자에게 지식과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쓰이는 진술 방식이며, 논증은 남을 설득할 목적으로 쓰이는 진술 방식이다. 또 묘사는 우리의 다섯 사지 감각을 통하여 얻은 느낌을 그림 그리듯 생생하게 드러낼 목적으로 쓰는 진술 방식이며, 서사는 특정 사건을 대상으로 그 진행 과정을 보일 목적으로 쓰는 진술 방식이다.

     

     

    추론(推論)

     

    추론(推論)이란 주어진 전제(前提)들로부터 결론(結論)을 이끌어 내는 사고 작용을 말한다.

    추론은 크게 연역 추론과 귀남 추론으로 나눌 수 있다.

    연역(演繹) 추론이란, 이미 알고 있는 아나 또는 둘 이상의 일반적인 명제를 기초로 하여 새로운 명제를 이끌어내는 사고 작용으로 결론은 전제들로부터 필연성을 가지고 도출된다.

    귀납(歸納) 추론이란, 특수하거나 개별적인 사실들로부터 일반적인 사실을 결론으로 이끌어 내는 사고 작용으로 전제와 결론 사이의 필연성보다는 개연성(蓋然性)을 중시하게 되어 결론의 확실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귀남 추론이 진리일 가능성을 따지는 반면, 연역 추론은 논리적 타당성, 명제들 간의 관계만을 문제 삼는다.

     

     

    태도(態度)

     

    태도(態度)란 지은이, 화자, 서술자, 시적 화자, 등장 인물 등이 대상에 대해 가지는 감정이나 생각 따위가 겉으로 드러난 모습이다. 글은 집필자가 대상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하느냐에 따라 사상과 깊이가 달라진다.

     

    설명문에서는 대개 글쓴이가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태도를 견지하는 것이 보통이므로 글쓴이의 태도 파악이 의미를 가지는 것은 자신의 의견을 밝히는 논설문의 경우라 하겠다. 논설문에서 글쓴이는 대상에 대한 야유, 풍자, 비판, 지지 등 다양한 태도를 취하기 때문이다.

     

    수필이나 소설에서 화자나 등장 인물의 태도는 서술자의 서술에 의해 직접적으로 표현되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행동이나 대화를 통해 간접적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태도를 파악하려면 화자, 인물 등의 행동, 대화에 담긴 의미, 목적 등을 탐구해야 한다.

     

    시적 화자의 태도 파악은 시의 내용 이해와 상보적인 관계에 있다. 즉, 시의 내용을 이해해야 시적 화자의 태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시적 화자의 태도를 파악해야만 시의 내용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통일성(統一性)

     

    통일성(統一性)이란 말 그대로 '둘이나 그 이상이 아닌 하나가 되는 성질'을 말한다. 한 편의 글이 통일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글을 구성하는 부분적 요소들이 글 전체의 중심 생각(화제, 주제)을 향하여 하나로 집중되고 종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글의 통일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해야 한다.

     

    ■ 전체 글이나 문단에서 주로(화제)와 무관한 불필요한 내용은 없는가?

    ■ 글의 전개상 생략해도 무방한 문단이나 문장은 없는가?

    ■ 논지, 관점, 목적 등이 일관성 있게 서술되어 있는가?

     

     

    표현상(表現上) 특징

     

    작가는 자신의 성향이나 작품의 내용에 따라 독특한 표현 방식을 구사하게 되는데, 이 때 개별 작품에 나타나는 표현의 특수성을 표현상의 특징이라고 한다.

     

    [예] 동백꽃 -김유정

    ■ 현장감 : 향토적 색채의 어휘, 비속어의 구사

    ■ 해학적 표현 등

     

     

    함축적(含蓄的) 의미

     

    시의 언어는 일상 언어를 사용하면서도 작품의 내부 구조를 통해 지시적(指示的) 의미와는 다른 새로운 의미를 이루어 낸다. 이를 시어(詩語)의 함축적 의미라고 한다.

     

    함축적 의미는 시어가 지니는 분위기, 다의성(多義性), 암시, 연상과 상징적 의미 등을 포괄한다. 시에는 함축적 의미가 많기 때문에 올바로 이해하고 감상하기 위해서는 시어가 내포하고 있는 내용을 다양한 방법으로 풀어내야 한다.

     

     

    현실 대응(現實對應)

     

    현실 대응이란 지은이나 작품 속의 등장인물 또는 화자가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해 보이는 반응을 가리킨다. 여기서 상황이란 지은이나 등장인물 또는 화자가 처해 있는 시간적, 공간적, 심리적 상황을 의미한다.

     

    현실 대응은 인물의 심리나 태도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적극적이냐 소극적이냐, 의지적이냐 체념적이냐 하는 이분법적인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적극적 현실 대응 : '광야'(이육사)

    - 지금은 비록 눈 내리는 어두운 현실(일제 강점하)이지만, 언젠가 찾아 올 광복의 그날을 위해 독립의 씨를 뿌리겠다는 적극적인 현실 대응 자세가 나타난다.

     

    ■ 소극적 현실 대응 : '봄은 간다'(김억)

    - 이 시는 암담한 시대 상황을 인식하는 데서 비롯된 작품이다. 그러나 치열한 현실 인식에서 오는 어떤 적극적 행동을 표출되지 못하고, 수동적 자세로 탄식하는 데 머무는 수동적인 현실 대응 자세가 드러난다.

     

     

    현실 인식(現實認識)

     

    현실 인식(現實認識)란 지은이나 작품 속의 등장 인물이 자신이 처한 현실을 바라보는 자세를 말한다. 지은이나 화자의 현실 인식을 파악할 때 긍정적이냐 부정적이냐, 낙관적이냐 비관적이냐 하는 이분법적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긍정적 현실 인식 : '남으로 창을 내겠소'(김상용)

    - 이 시는 자신이 처한 전원에서의 현실적 삶에 대한 만족감이 강하게 드러난다. 특히 '왜 사냐건 웃지요'라는 마지막 시행에서 이와 같은 삶의 인식이 잘 드러난다.

     

    ■ 부정적 현실 인식 : '권태'(이상)

    '권태'에서 지은이는 아름다운 산과 벌판을 보고도 단조롭고 초록색 하나로 되어 있어 권태롭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는 현실 인식이 부정적이며 냉소적임을 드러낸다.

     

     

    형상화(形象化)

     

    형상화(形象化)란 어떤 내용을 구체적인 모습으로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한다. 문학은 사상(事象)을 형상으로 파악하여 언어로 제시하는 예술이다.

     

    소설은 등장 인물과 배경이라는 구체적 모습이 없다면 성립될 수 없으며, 시의 주제는 어떤 구체적인 사물의 이미지, 비유 등의 형상을 통해 제시된다. 문학은 이처럼 인간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온갖 일을 설명하는 대신 구체적인 모습으로 그려낸다.

     

    형상화는 주로 적절한 비유나 심상, 상징을 통해 표현되고, 문학이 그려 낸 형상은 현실 세계의 구체적 대상과는 무관한 독자성을 지닌 하나의 상징이 된다.

    반응형
    댓글
    위쪽 화살표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하트) 부탁드려요.
    로딩바